상세검색
동소문(東小門)이라고도 한다. 도성에는 4개의 대문과 4개의 소문(小門)이 설치되었는데, 이 문은 동문과 북문 사이에 세워졌다. 처음에는 문 이름을 홍화문(弘化門)이라 하였다가 1483년(성종 4) 새로 창건한 창경궁의 동문을 홍화(弘化)라고 정함에 따라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1511년(중종 6) 혜화로 고쳤다. 1684년(숙종 10) 문루(門樓)를…
1985년 9월 10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69호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례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세운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다. 고양향교는 조선 숙종(肅宗:재위 1674∼1720) 때 처음 지었으며,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향교의 대성전(大成殿)과 동무·서무, 내삼문(內三門) 등은 조선 말…
만교는 조선 제22대왕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참배하러 갈 때 참배 행렬이 건너기 편하도록 1795년 축조한 석교이다. 석교는 길이 약 30m,폭 약 8m, 높이 약 6m으로 7개의 홍예문(무지개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973년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
마늘간장치킨 19,000원 고추간장치킨 18,000원 크리스피 치킨 18,000원 순살 크리스피 18,000원 마늘 전기구이 17,000원 순살 스윗치킨 18,000원 후라이드 치킨 17,000원 순살 파닭 18,000원 전기구이 치킨 15,000원 웨지감자 11,000원
환구단을 바라보는 아늑한 공간에서 만남을 즐기는 로비 라운지 & 바 ‘써클’은 만남과 휴식을 위한 로비라운지&바로 환구단과 어우러진 사계절의 모습을 다양한 차와 주류와 함께 아늑한 분위기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낮에는 우아한 분위기의 라운지로 달콤한 페이스트리와 함께 하는 티 세트, 갓 뽑은 아라비카 커피, 다즐링, 얼그레이, 페퍼민트, 진주 자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57.5척(尺), 측면 4칸, 63.5척의 단층 정자형(丁字形) 기와지붕집이다. 중국의 관우(關羽)를 봉사(奉祀)한 묘사(廟祠)로서 1601년(선조 34) 준공되었다. 정전(正殿)은 평면이 앞뒤로 길쭉한 직사각형을 이루며, 내부는 본실(本室)과 전실(前室)의 두 부분으로 나뉘고 중간에는…
1992년 12월 28일 사적 제378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월 8일 명승 제35호로 변경되었다. 지정면적 1만 4,407㎡이다. 조선시대 민가의 조원(造苑)으로는 서울에 남은 유일한 것이다.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沈相應)의 별장을 의친왕이 별궁으로 사용하던 곳이다. 공간구성은 쌍류동천(雙流洞天)과 용두가산(龍頭假山)이 있는 전…
1972년 5월 4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1650년(효종 1) 조광조(趙光祖)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지방 유림의 공론에 의거, 설립하고 위패를 모셨다. 조광조의 무덤이 있는 용인에서는 일찍부터 서원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넉넉하지 못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모현면(慕賢面)의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한 충렬서원…
시구문(屍軀門) ·수구문(水口門)이라고도 하였으며 서소문(西小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내보내던 문이다.1396년(태조 5) 도성을 축조할 때 창건되었으며, 1422년(세종 4) 개축된 것으로 추측된다. 《숙종실록(肅宗實錄)》에 1711년(숙종 37) 민진후(閔鎭厚)의 건의로 금위영(禁衛營)으로 하여금 개축하게 하고, 문루(門樓)는 목재를 구하기가 어려우므…
보물 제141호. 태조가 창건한 문묘는 건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1402년(태종 2)에 화재로 소실되어 1407년(태종 7)에 중건되었다. 그후 1506년(중종 1)에 보수를 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다시 불타 버린 것을 1601년(선조 34)부터 1606년 사이에 거의 원 모습으로 중건하고 1869년(고종 6)에 대수리(大修理)가 이루어져 오늘에 이…
조선 태종(太宗) 12년인 1412년 5월에 건립하였으며 창덕궁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다음해 돈화문에 큰 종(鐘)이 설치되어 매일 정오와 오후 10시에 종을 쳐 시각을 알렸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선조(宣祖) 재위 40년인 1607년에 복원이 시작되어 광해군(光海君) 원년인 1609년에 완공되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돈화문의 …
1964년 8월 29일 사적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20만 3511㎡이고, 둘레는 약 2.4km이다. 1694년(숙종 20) 구축한 것으로, 강화 갑곶진(甲串鎭)과 마주보는 김포 쪽에 위치하여 갑곶진과 더불어 강화도 입구를 지키는 성이다. 명칭은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에서 유래하였다. 취예루(取豫樓) ·공해루(控海樓) 등 문루와 암문(暗門)…
1688년(숙종 14) 영의정 겸 관상감 영사(領事) 남구만(南九萬)이 창덕궁 금호문(金虎門) 밖에 축조하였다가 후에 창경궁으로 옮겼다. 서울 종로구 계동의 관상감에 세운 관천대와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천문대로, 소간의대(小簡儀臺) 혹은 첨성대(瞻星臺)라고도 한다. 높이 3m, 넓이 2.9m×2.3m 정도 되는 화강암 석대 위에 돌난간을 두르고 …
세련된 도시의 라이프 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이탈리안 비스트로 베키아 에 누보는 이탈리아어로 “Old & New” 라는 의미로 현대적인 디자인과 친숙한 서비스, 그리고 세련되고 자연스러운 맛을 추구하면서, 무엇보다 음식은 건강에도 좋아야 한다는 것을 모토로 삼고 있습니다. 베키아 에 누보가 마니아층까지 형성했을 정도로 인기를 모은 비결은 집에서 …
1982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 건평 230㎡의 유지이다. 안팎의 본관, 이승만 대통령이 조각(組閣)을 발표하였던 조각정(組閣亭), 이화장의 관리와 유족들의 거처인 생활관(1985 건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 1988년 건국 40주년을 기념하여 세운 이승만 동상이 있다. 본디 조선 중기의 문신 신광한(申光漢)…